코딩 이야기 26

[JAVA] 쓰레드(Thread) : 생성

* 이 글은 2020. 3. 27. 23:28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java에서는 작업쓰레드도 객체로 생성을 하기 때문에 클래스가 필요하다. ​ ​ Thread 생성 및 실행 ​ ​ 1. java.lang.Thread를 직접 생성하는 방법 Runnable을 매개값으로 갖는 생성자를 호출하여 사용. Thread thread = new Thread ( Runnable target); 1)Runnable은 인터페이스 타입이므로 구현 객체를 대입 해야한다. ** Runnable은 작업 스레드가 실행할 수 있는 코드를 가지고 있는 객체이다. ** ​ 2) 구현 객체 생성 ① 새로운 클래스를 생성하여 구현 객체를 만들수도 있고, ② 익명 구현 객체를 정의할 수 도 있다. ​ 3) 구현 클래스는 run() 메소드..

[JAVA] 스레드(Thread) - 프로세스와 멀티 태스킹

* 이 글은 2020. 3. 19. 15:53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**** 현재 공부중 **** ​ 프로세스란? Process 프로세스란, 운영체제에서 실행중인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. ​ 보통 우리는 컴퓨터 작업을 하게 되면 여러 일들을 하기 마련이다. 그러므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띄워놓고 작업을 하게 된다. 예를 들어.. ​ 인터넷 검색을 하면서 정보를 얻기 위해 검색한 페이지 그리고 검색 결과에서의 정보가 담긴 블로그 및 타 사이트 페이지, 듣기 위한 유튭 페이지 등 지금 적은것 까지만 해도 3 페이지가 된다. 3개의 인터넷 브라우저 프로세스가 돌아가고 있다는 말이다. 2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돌아간다면 멀티 프로세스라고 한다. ​ 이렇게 두 가지 이상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을 멀티 ..

[JAVA] 클래스 Class

* 이 글은 2020. 3. 7. 8:56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클래스... 클래스는 많이 많이 보고 공부 해야만 하는 것같다. ​ 클래스는 어디서 시작 되었을까..? ​ c와 c++에 구조체가 있다면 자바에는 클래스가 있다! ​ 구조체를 구현하는 문법과 클래스를 구현하는 문법은 매우 비슷하다. 하지만, 클래스가 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. ​ 클래스는 상속이 가능하고 , 접근제한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고, 메서드의 활용이 가능하다. ​ 접근제한자를 통한 은닉화,캡슐화 Encapsulation ! 구조체의 멤버들은 기본적으로 public 접근제한을 갖는다. ​ 자바의 클래스의 멤버들은? ​ public도, private도 protected도 ! defalut도!! 모두 가질 수 있다. ​ 즉, 자바..

[JAVA의 정석] 자바의 정석 7.객체지향 프로그래밍 [7-1]

* 이 글은 2020. 3. 6. 8:43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공부하면서 복습도 할 겸 블로그를 다시 시작하기로 했다. 학원을 다니기전에 혼자 공부하며 포스팅한 html, c언어 포스팅을 봤는데......ㅎ.ㅎ 내가쓴게 맞나 싶닿ㅎ ​ 암튼 지금은 열심히 java 공부중.... ​ 자바의 정석 책으로 공부를 하는건 아닌데, 자바의 정석의 저자님이 pdf파일로 무료 배포하신 연습문제 자료가 있어서 풀어보기로했당. ​ java 언어를 배우면서 객체지향적인 프로그래밍은 정.말.매.우. 중요하다고 생각한다. 열심히 객체지향적인 코딩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음. ​ 사실 chap07부터 풀지는 않고 06부터 풀었는데 7-2를 푸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......... 안풀려서 너무 화가났지만 화가 난 ..

[JAVA의 정석] 자바의 정석 7.객체지향 프로그래밍 [7-2]

* 이 글은 2020. 3. 6. 10:20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자바의 정석 7.객체지향 프로그래밍 [7-1] 포스팅 보러가기 [JAVA의 정석] 자바의 정석 7.객체지향 프로그래밍 [7-1] * 이 글은 2020. 3. 6. 8:43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공부하면서 복습도 할 겸 블로그를 다시 시작하기로 했다. 학원을 다니기전에 혼자 공부하며 포스팅한 html, c언어 포스팅을 봤는데......ㅎ.ㅎ dajoonee.tistory.com ​ 자바의 정석 연습문제 7-2 ​ 이 문제가 바로 바로 나를 아주 화나게 만든 문제다ㅠㅠㅠ (내가 바보일지도 모르겠다...) 모범답안보고 헛웃음이 절로 났다는건 비밀...ㅋㅋㅋㅋㅋㅋㅋ ​ ​ 일단 코드를 봐보자. ​ suffle() 메소드 코드 void sh..

[C언어] 5. 출력 함수(라이브러리 함수)

* 이 글은 2019. 9. 11. 0:07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printf 함수의 변환 명세 (출력 포맷 설정) 식(변수) 결과 값의 출력 : 변환 명세를 사용. ex) printf ("%d\n"), age %d 변환 명세 자리에 age변수의 데이터를 출력함. 여기서 문제 ~~~ 왜 실수 자료형인 double은 이름이 double일까요? 왜냐,double의 기억공간 크기는 float 자료형의 기억공간 크기의 두 배이기 때문에 더블이라고 지었다고한다. ​ 변환 명세 출력 예시 ​ * 띄어쓰기 그대로 출력. * 소수점은 6자리까지 표시해준다. ​ ​ * 숫자와 기호 및 알파벳은 1칸씩 차지하지만, 한글의 한 글자는 두 칸 차지. printf의 변환명세와 필드폭 필드폭 -필드폭은 세로로 여러 값이 오른..

[C언어] 4. 변수와 자료형

* 이 글은 2019. 9. 10. 22:47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C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- 변수 ; 프로그램에서 처리할 데이터를 저장할 주소 지정 - 상수 : 데이터 값 자체. 변하지 않는다. - 대입문 : 변수에 정해놓은 값을 저장시키라는 명령문. - 선언문 : 변수 이름 선언. - 자료형 : int, double, char 등 저장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지정할 수 있는 자료형이 달라짐. ​ 1. 기억장치 설정 int(자료형) age(변수) : [ age ]라는 기억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는 것을 변수 선언이라고 한다! ​ 2. 대입문 :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. age = 15; age라는 메모리 공간에 15라는 데이터를 저장하라는 명령문이다. * 같은 변수에 새로운 데이터를 넣은 대입문이 등장..

[C언어] 3. C 프로그램의 구조

* 이 글은 2019. 9. 9. 1:06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C 프로그램 구조 ​ c 프로그램 : 특정 일을 수행하는 함수들의 모임 ​ main 함수 - 반드시 있어야 하는 함수. - 이 외에도 사용자 목적에 맞게 다른 함수를 정의하여 사용 가능. ​ 구조 예시 전처리기(preprocessor instruction) 지시 - 컴파일러 보다 먼저 특정 일을 수행하는 전처리기에게 내리는 지시. - #include (ㅋㅋ왜태그처리하지) 사용자가 만들지 않은 라이브러리 함수, 예로 scanf와 printf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헤더 파일 'stdio.h'를 이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라는 뜻. - 이 지시 없이는 scanf와 printf 함수를 사용할 수 없다. ​ *scanf와 printf 등 직접 코딩하기에..

[C언어] 2. 프로그램 개발 과정

* 이 글은 2019. 9. 8. 22:58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1. 문제 분석 : 개발할 프로그램의 내용, 성격, 해당 프로그램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과정. ​ 2. 알고리즘 설계 - 원하는 결과가 나오도록 컴퓨터가 해야 할 일을 순서대로 모아둔 것. - 프로그램 개발에서 아주 매우 중요한 단계. - 건축물 설계도를 만드는 과정에 해당. - 순서도(flow chart)나 의사 코드(pseudo code)를 이용하여 나타냄. ​ 3. 코딩하기 : 알고리즘을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로 옮기는 작업. (소스파일, 소스코드) ​ 4. 컴파일(compiling) 하여 목적 파일(*.obj =object)과 라이브러리 파일 생성. ​ 5. 링킹(linking)을 통해 실행파일 생성 (*...

[C언어] 1. C 프로그램의 이해

* 이 글은 2019. 9. 8. 22:01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컴퓨터는 2진수(binary numbers)인 0과 1만 사용. 사람은 10진수(decimal numbers)인 0~9 사용. (왜냐 손가락이 10개이기 때문에 ㅋ.ㅋ) ​ * 2진수로 명령을 하기에는 효율적이지 않음. ​ ● 컴퓨터 (computer) : 데이터를 처리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적 데이터 처리 장치. ​ ● 알고리즘 (algorithm) : 문제를 풀기 위한 처리 과정을 순서대로 적은 것, ​ ● 프로그램 (program) : 컴퓨터에게 내리는 명령을 알고리즘 순서에 맞게 모아둔 것. ​ ● 프로그래밍 언어 (programming language) : 컴퓨터 프로그램을 짜는 데 사용하는 언어. ​ 1) 고급 언어 (hi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