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이 글은 2019. 9. 10. 22:47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
C 프로그램의 구성요소
- 변수 ; 프로그램에서 처리할 데이터를 저장할 주소 지정
- 상수 : 데이터 값 자체. 변하지 않는다.
- 대입문 : 변수에 정해놓은 값을 저장시키라는 명령문.
- 선언문 : 변수 이름 선언.
- 자료형 : int, double, char 등 저장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지정할 수 있는 자료형이 달라짐.
1. 기억장치 설정
int(자료형) age(변수)
: [ age ]라는 기억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는 것을 변수 선언이라고 한다!
2. 대입문
: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.
age = 15;
age라는 메모리 공간에 15라는 데이터를 저장하라는 명령문이다.
* 같은 변수에 새로운 데이터를 넣은 대입문이 등장하면 해당 기억 공간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는 사라지고 새로운 데이터로 대체된다~!
C Syntax
main 함수 구조
int main ( )
{
int width, height, area ;
width = 10;
height = 5;
area = width *height ;
printf("면적=%d", area);
return 0;
}
주 기억장치 (CPU)
메모리 기억 공간 |
데이터 |
width |
10 |
height |
5 |
area |
50 |
........
컴퓨터 프로그램이란?
: 자료를 저장할 변수(기억 공간)을 할당받아 변수에 값을 저장하고, 계산을 통해 새로운 값으로 수정해가면서
변수에 원하는 결괏값이 저장되게 하는 것.
*함수 정의 : main 함수가 하는 일을 작성
int main()
* 변수 선언문 : 변수 기억 공간 할당
int width, height, area ;
* 대입문 : 변수에 값을 대입. 즉, 지정한다.
width = 10;
heigth = 5;
.
.
width |
= |
10; |
변수 |
연산자 |
상수 |
*함수 호출문 : 나 대신 다른 함수에게 일을 시킬 때
printf("%d=면적", area);
* 제어문 : main 함수 종료.
return 0;
c 언어 자료 종류
-정수(intergers) : 소수점이 없는 숫자
ex) 2100, -5
-실수(real numbers) : 소수점이 있는 숫자.
ex) 3.14, .2, 0.5, 4.
-문자(character) ; ' '로 묶은 1개 이하의 문자.
ex) 'A', '+', '1'
- 문자열(sentence) : " "로 묶은 1개 이상의 문자열.
ex) "c언어", "appel", "한"
* 한글 1글자는 최소 2bits가 필용하므로 문자에 포함될 수 없다! *
bit와 byte
-1 bit
*0 또는 1두 가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최소의 자료 저장 단위.
* 전구 1개에 해당. 하나 1 bit에 2개 저장 가능.
-1 byte
* 8 bits → 2에 8제곱 가지의 데이터를 표현 가능.
* 문자 1개를 표현하는데 사용.
* char형 크기.
자료형(Data type) 종류 및 기억 공간 크기
- 문자 char
· 기억 공간 크기 : 1 bit
1bit |
- 정수 int
·기억 공간 크기 : 4 bits
1bit |
2bits |
3bits |
4bits |
- 실수 double
· 기억 공간 크기 : 8 bits (1 byte)
1bit |
2bits |
3bits |
4bits |
5bits |
6bits |
7bits |
8bits |
식별자(identifier)
- 프로그램에서 이름으로 사용하는 것의 총칭.
- 변수명, 배열명, 함수명, 구조체명 등
예약어 (reserved word, key word)
- c 언어에서 특별한 의미로 사용하는 단어.
- 식별자로 사용될 수 없다.
ex) char, float, double, if, else, switch, case, defult, return, break, int, for, while, do, continue, goto, void, sizeof, struct 등.
- printf 함수는 예약어가 아니고 라이브러리 함수이다.
( c 언어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함수는 식별자로 사용될 수는 있으나, 사용되는 순간 함수로서의 기능을 잃어버린다.
식별자 이름 짓는 규칙
:A~Z, a~z, 0~9, 한글
- 특수문자는 _(밑줄:underscore)만 사용 가능.
- 대소문자를 구별한다. 즉, Age와 age를 다른 식별자로 인식.
- 첫 글자는 숫자일 수 없다. 하나 중간 혹은 맨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.
- 중간에 빈칸이 있으면 안 된다.
- 길이는 제한이 없다.
c언어 시리즈
[C언어] 1. C 프로그램의 이해
* 이 글은 2019. 9. 8. 22:01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컴퓨터는 2진수(binary numbers)인 0과 1만 사용. 사람은 10진수(decimal numbers)인 0~9 사용. (왜냐 손가락이 10개이기 때문에 ㅋ.ㅋ) * 2진수로..
dajoonee.tistory.com
[C언어] 2. 프로그램 개발 과정
* 이 글은 2019. 9. 8. 22:58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1. 문제 분석 : 개발할 프로그램의 내용, 성격, 해당 프로그램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과정. 2. 알고리즘 설계 - 원
dajoonee.tistory.com
[C언어] 3. C 프로그램의 구조
* 이 글은 2019. 9. 9. 1:06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C 프로그램 구조 c 프로그램 : 특정 일을 수행하는 함수들의 모임 main 함수 - 반드시 있어야 하는 함수. - 이 외에도 사용자 목적에 맞게
dajoonee.tistory.com
[C언어] 4. 변수와 자료형
* 이 글은 2019. 9. 10. 22:47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C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- 변수 ; 프로그램에서 처리할 데이터를 저장할 주소 지정 - 상수 : 데이터 값 자체. 변하지 않는다. - 대입문 : 변수에
dajoonee.tistory.com
[C언어] 5. 출력 함수(라이브러리 함수)
* 이 글은 2019. 9. 11. 0:07에 작성되었던 글입니다 * printf 함수의 변환 명세 (출력 포맷 설정) 식(변수) 결과 값의 출력 : 변환 명세를 사용. ex) printf ("%d\n"), age %d 변환 명세 자리에 age변수의..
dajoonee.tistory.com
'코딩 이야기 > C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언어] 5. 출력 함수(라이브러리 함수) (0) | 2020.12.09 |
---|---|
[C언어] 3. C 프로그램의 구조 (0) | 2020.12.09 |
[C언어] 2. 프로그램 개발 과정 (3) | 2020.12.09 |
[C언어] 1. C 프로그램의 이해 (0) | 2020.12.09 |